조갑제 "반역자에 국장결정 이명박 반대운동" 중앙 "DJ 아쉽게도 MB 독재비판"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한평생을 바치다 서거한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해 보수 인사와 일부 언론이 저주와 같은 독설을 쏟아내는가 하면 서거 직전 민주주의 역주행을 우려하던 행보를 비판하는 등 도를 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 국민장 결정에 반대했던 조갑제 전 월간조선 사장(현 조갑제닷컴 대표)은 지난 19일 김대중 전 대통령 장례가 '국장'으로 결정되자 이날 밤 조갑제닷컴 홈페이지에 올린 <'김대중 국장 보이콧' 운동의 종착역은 배신자 이명박 응징>을 통해 김 전 대통령에 대한 폭언과 함께, 국장을 결정한 이명박 대통령에 대해 비난을 퍼부었다.
조갑제 "반역자 DJ 국장 결정한 이명박 조국을 능욕…조문 안 가기·이명박 거부운동"
조 대표는 "이명박 대통령은 헌법정신과 관례를 무시하고 국가반역범죄 전력자, 대북 불법송금 사건 총책임자, 6·15 반역선언자, 북핵개발 지원혐의자의 장례식을 국장으로 치르겠다고 결정했다"며 "대한민국의 정통성, 정체성, 정당성을 대한민국의 대표 되는 자가 허물어버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국가의 가치관, 진실, 정의, 명예, 권위를 수호할 의무를 지닌 대통령이 국가를 끌고 가서 반국가 세력 앞에 무릎을 꿇린 셈이다" "대통령이 조국을 능욕한 것이다" "국가를 희생시킴으로써 김대중, 김정일 세력에 잘 보여 자신의 인기를 높이고 퇴임 후의 안전을 보장받겠다는 계산인 것 같은데 이는 치명적 오판으로 드러날 것이다" 등의 표현을 쏟아냈다. 조 대표는 그 근거로 "김대중 절대 지지자보다 절대 반대자가 두 배 이상 많다. 이들의 분노는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거부 운동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국장 보이콧 운동도 일어날 것이다. 조기 안달기, 조문 안 가기 운동이 벌어질 것이다. 이런 운동은 김대중 거부 운동이라기보다는 이명박 거부 운동이란 성격이 더 강하다"라고 했다. 조 대표는 "이명박과 애국세력은 이제 적대관계로 바뀔 것"이라며 "그의 지지기반인 경상도에서 가장 거센 반이명박 운동이 일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DJ 절대지지자 보다 절대반대자가 두배 많아"? 근거는?
그런데 조 대표는 김 전 대통령 절대 지지자보다 절대 반대자가 많다는 주장에 대한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되레 자신의 노골적인 반DJ 성향을 가감없이 드러낸 셈이다. 앞서 이날 오전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도 자신의 홈페이지에 '인생무상을 느낍니다'라는 글을 올려 DJ 삶의 궤적을 간략히 언급한 뒤 "나는 오늘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공적과 과실을 논하고 싶지 않다. 그것은 앞으로 세월이 많이 흐르고 난 뒤에 역사가들이 해야 할 일이라고 믿는다"며 "어른이 가고 난 뒤에 그의 추종자들이 추태를 부리는 일만은 없기를 간절히 염원하는 바"라고 주장했다.
중앙일보도 같은 날짜 사설 <역사 속으로 떠나간 DJ>에서 김 전 대통령의 업적을 기술했지만 이와 함께 김 전 대통령이 3개월 전 이명박 정부를 비판한 것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남겼다.
중앙일보 "DJ 좋은기회있었는데…아쉽게도 막판에 MB 정권 독재로 규정"
"DJ는…(재임기간 중) 아들들의 비리로 국민의 분노를 사기도 했지만 DJ 자신은 진보 정권의 재창출에 성공했다. 크게 봐서 순조로운 진행이었다. 그렇다면 그에겐 국가적 포용의 좋은 기회가 있었다. 산업화 세력의 역사적 의미를 인정하고, 이를 승계한 이명박 정권을 수용하며, 전직 대통령으로서 국가적 통합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자격과 기회가 있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그는 막판에 자신을 키워준 '투쟁의 과거'로 돌아가고 말았다. 정권을 독재로 규정하고 국민에게 일어나 행동할 것을 촉구한 것이다. 그에겐 나름의 논리가 있었을 것이다. 자신이 헌신한 남북 화해가 위기에 처하고 진보파 노무현이 검찰 수사를 받다 충격적으로 죽은 데에 마음이 크게 흔들렸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럴수록 지역과 정파를 떠나 국가원로의 길을 걸었다면 그의 빈자리는 더욱 클 것이다."
중앙일보의 주장엔 김 전 대통령이 이명박 정부에 대해 '독재'라는 표현을 쓰고, 국민에게 행동하는 양심이 되자고 한 말의 진정성에 대한 이해가 전혀 담겨져있지 않다. 그저 '왜 잘나가다가 이명박 대통령을 건드려'라는 식이다. 현직 대통령이 과거에 힘겹게 쌓은 민주화의 기틀을 무너뜨리려 한다는 위기감을 느낀 것은 비단 김 전 대통령 뿐이 아니었다. 중앙일보는 그것을 모르지 않았을 테지만 인정하지 않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다. 현직 대통령에겐 소통과 통합을 하도록 촉구하고 비판하지 못하면서 고인이 된 전직 대통령에게만 그런 굴레를 씌우는 것은 우선 순위에도 맞지 않다.중앙일보의 주장엔 김 전 대통령이 이명박 정부에 대해 '독재'라는 표현을 쓰고, 국민에게 행동하는 양심이 되자고 한 말의 진정성에 대한 이해가 전혀 담겨져있지 않다. 그저 '왜 잘나가다가 이명박 대통령을 건드려'라는 식이다. 현직 대통령이 과거에 힘겹게 쌓은 민주화의 기틀을 무너뜨리려 한다는 위기감을 느낀 것은 비단 김 전 대통령 뿐이 아니었다. 중앙일보는 그것을 모르지 않았을 테지만 인정하지 않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다. 현직 대통령에겐 소통과 통합을 하도록 촉구하고 비판하지 못하면서 고인이 된 전직 대통령에게만 그런 굴레를 씌우는 것은 우선 순위에도 맞지 않다.
동아일보는 20일자 사설에서 김 전 대통령의 국장 영결식이 국회에서 열리게 된 것을 두고 민주당을 걸고 넘어졌다.
김동길 "DJ추종자 추태부리지 말아야" 동아 "일부세력(민주당) 반민주적 구태 청산해야"
동아는 <국장, 국민화합과 정치 정상화 출발점 돼야>에서 "정부가 공식 빈소를 국회의사당 앞마당으로 정하고, 23일 열리는 영결식을 이곳에서 거행하기로 한 것은 평생을 의회주의자로 살았던 고인의 뜻을 되새긴다는 의미가 있다"며 "폭력과 장외투쟁에 의존하며 의회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일부 정치세력은 이 같은 정신을 존중해 반(反)민주적 반의회적 구태를 즉각 청산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